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악체험촌


우리음악의 멋과 향기, 국악체험촌

우리 음악의 멋과 향기를 느끼고 몸과 마음에 여유를 지닙니다.

교육 애니메이션 - 정연이의 국악 공부

작성자 softss 작성일 2016.11.10 조회수1292

교육용 애니메이션

● 등장인물
정연 : 여자 10살. 초등 3학년 말괄량이, 개구쟁이.
아빠 : 아빠 38살. 착한 보통아빠. 소심한 성격.
선 녀 : 12살 정도 목소리
궁중악사 : (남자). 12살 정도 목소리

1. 시작
(정연이네 집)
아빠 : 정연야, 숙제하니?
정연 : 네, 국악에 대해 조사하는데요, 자료가 너무 많아서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아빠 : 음, 이럴 때 영동군 국악캐릭터 ‘우리 소리’가 있으면 쉽게 설명해줄 텐데.(이 때, PC 모니터가 빛나면서 ‘우리 소리’캐릭터가 등장한다.)
정연 : 앗!
아빠 : 아니!
선녀, 악사 : 안녕하세요.
악사 : 영동군 국악캐릭터 ‘우리 소리’입니다.
선녀 :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정연 : 국악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선녀 : 우선, 국악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그러면 나중에 하나, 하나 깊이 공부할 때도 도움이 될거예요.
정연 : 네, 알겠습니다~
선녀 : 그럼, 국악의 분류를 알아볼까요?(장면전환)

2. 국악 분류 설명(정악일반)
선녀 : 국악을 분류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재는 크게 정악과 민속악으로 구분합니다.정악은 궁중과 상류상회에서 향유되던 음악을 말하고, 민속악은 그 외의 음악들을 말합니다.정악 안에는 궁중악, 풍류, 정가 등이 있습니다.궁중악에는 제사 때 연주된 제례악, 궁중행사 때 연주된 연례악, 군대의식 때 연주된 군례악 등이 있습니다.풍류는 궁중과 상류층에서 연주되었던 연주곡들을 말합니다.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와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줄풍류로 나누어집니다.정가는 상류층에서 불렸던 성악곡들을 말합니다.

정연 : 성악하면 턱시도나 드레스를 입고 노래하는 성악가들이 생각나요.
선녀 : 네, 노래를 부르는 방법이나 곡은 다르지만 우리나라에도 옛날부터 훌륭한 성악가들과 성악곡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정연 : 와, 신기하다.
선녀 : 정가 중 가곡은 정형적인 시조에 반주와 더불어 부른 성악곡을 말합니다.가사는 형식이 자유로운 시조를 가사로 하고 민요와 같이 꾸밈음을 넣어 부른 성악곡을 말합니다.시조는 반주 없이 시조시에 가락을 붙여 부르는 시조를 말합니다.

3. 국악 분류 설명(종묘제례악)
선녀 : 혹시, 종묘제례악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아빠 : 그럼요, 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무형문화재잖아요.
선녀 : 네, 맞습니다. 종묘제례악은 궁중에서 선왕들에게 제사할 때 연주되었던 음악입니다.(자막 : 선왕, 먼저 나라를 다스렸던 조상 왕들을 말함)
선녀 : 제사의식 순서에 맞춰 연주, 노래, 춤이 함께 어우러집니다.종묘제례악은 크게 ‘보태평’과 ‘정대업’이라는 곡으로 이루어져있는데, ‘보태평’은 선왕들이 학문과 덕으로 나라를 다스린 것을 칭송하고, ‘정대업’은 선왕들이 무공으로 나라를 세우고 지킨 것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빠 : 나도 예전엔 ‘무공’을 연마했었지.
정연 : 아빠, 할머니가 그러시는데, 기합소리가 무섭다고 태권도장에서 울면서 도망치셨다면서요~?
아빠 : 에, 음, 음. 선생님~ 다음 설명 부탁드려요~
선녀 : 호호호, 네~.궁중악에서 잘 알려진 것 중 또 하나는 ‘대취타’입니다.‘대취타’는 왕의 행차나 군대가 행진할 때 연주되었던 곡으로, ‘취’는 불어서 소리를 내는 관악기를 뜻하고, ‘타’는 쳐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를 뜻합니다.악대의 규모에 따라 대취타와 소취타로 나뉘기도 했습니다.‘취타’는 실내에서 공연음악으로 연주되기도 합니다.(장면전환)

4. 국악 분류 설명(민속악 일반)
악사 : 이번엔 민속악을 알아볼까요?민속악은 정악과 대비되는 말로 정악 이외에 음악들을 말합니다.민속악에는 민요, 잡가, 입창, 판소리, 범패, 무악,산조, 시나위, 농악, 창작음악 등이 있습니다.민요는 백성들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노래들입니다.잡가는 집안에서 불렀던 노래입니다. 통절형식의 긴 노래라는 것이 특징입니다.(자막 : 통절형식, 몇 절로 된 가사이든 처음부터 끝까지 다른 멜로디로 노래하는 형식)입창은 서서 부르는 노래라 하여 ‘선소리’라고도하고, 산을 주제로 한 노래가 많아 ‘산타령’이라고도 부릅니다.민요, 잡가, 입창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방법과 특징이 다릅니다.범패와 무악은 종교의식에 사용되는 음악입니다.산조는 우리나라 전통악기들의 독주를 말합니다.시나위는 즉흥합주를 말합니다. 서양음악의 재즈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농악은 농민들의 음악으로 지역마다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그 외, 국악의 형식이나 특징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된 음악들이 있습니다.(장면전환)

5. 국악 분류 설명(민요)
정연 : 와, 국악에는 정말 다양한 음악들이 있네요.
아빠 : 아! 그러고보니 저도 아는 노래가 있습니다.(꺾인 목소리로) 늴리리야~ 늴리리야~
정연 : (민망하다는 듯이) 아빠... 쫌!!

악사 : 하하하. ‘늴리리야’는 유명한 경기민요죠. ‘늴리리야’라는 가사는 피리소리를 입으로 흉내 낸 의성어입니다.경기민요는 노래를 부를 때, 꾸며주는 소리가 적어서 맑고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태평연’이라는 민요는 1930년대 만들어졌습니다. 같은 시기에 나온 민요로 ‘군밤타령’이 있지요.(배경음악, 태평연 노래)

정연 : 아니! 그럼 제가 좋아하는 언니, 오빠들 노래도 나중에는 민요가 되는건가요?
악사 : 하하하. 그럴 수도 있겠네요.(장면전환)

6. 국악 분류 설명(판소리)
선녀 : 민속악에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이 있는데요.
정연 : 어떤 거죠?
선녀 : 바로, 판소리입니다.
정연, 아빠 : 판소리~?
선녀 : 판소리는 넓은 터란 의미의 (판)과 말 그대로 소리를 뜻하는 (소리)의 합성어라고 전해집니다.판소리는 소리를 맡은 (소리꾼)과 북으로 장단을 맞추고 추임새를 넣어주는 (고수) 그리고 관객이 참여하여 하나의 공연작품을 만들어 냅니다.판소리를 시작하기 전, 소리꾼은 목을 풀기 위해 짧은 대목의 노래를 하는데, 이것을 (단가)라고 부릅니다.또, 판소리 내용 중 한 대목이나, (단가)를 소리꾼이 직접 반주하며 부르는 것을 (병창)이라고 합니다.판소리의 소리꾼은 (소리), (아니리), (발림)을 통해 공연을 이끌어 갑니다.(소리)는 노래와 입으로 내는 음향효과 등을 말합니다.(아니리)는 일종의 연극대사 같은 것입니다.(발림)은 상황에 맞게 연기하는 것을 말합니다.판소리 중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부가), (적벽가)가 많이 공연되고 있는데, 이것을 판소리 다섯 마당이라고 부릅니다.(장면전환)

6. 마무리(끝인사)
악사 : 우선 이 정도로 정리를 하고 나중에 각 음악별로 조사를 더 해보면 국악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갈 수 있을 거예요.
정연 : 와~ 우리소리 정말 고마워요. 덕분에 국악숙제를 즐겁게 했어요.
아빠 : 정말 재밌는 수업이었습니다. 하하하.
악사 : 도움이 되셨다니 저희도 기쁩니다.
선녀 : 계속해서 국악에 대해 배우고, 들어보신다면국악도 다른 음악처럼 즐길 수 있게 되실 거예요.
정연, 아빠 : 네~.
악사 :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악사, 선녀 : 안녕~
정연, 아빠 : 네, 고마워요. 안녕~

정연 : 아빠, 국악공부 정말 재미있었어요. 이젠 직접 악기도 연주해보고 싶고, 국악연주도 들어보고 싶어요.
아빠 : 아빠도 그렇구나. 정연야, 그럼 우리 영동국악체험촌에 가보지 않을래? 그곳에 가면 재밌게 국악도 배우고, 악기도 만들고 연주도 해보고 또 국악소리도 들을 수 있어.
정연 : 우와, 정말요? 꼭 가요, 아빠!
아빠 : 그래 함께 가보자! 하하하하!
정연 : 하하하하!

알기쉬운 영동군 민원특화 서비스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동군 민원특화 서비스

민원도우미

민원도우미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맞춤형 검색 서비스
닫기